반응형
근현대사 책에서나 보는 줄 알았던 계엄이라는 단어는, 최근들어 아주 쉽게 뉴스와 사람들의 입을 오르내립니다. 하지만 막상 계엄의 뜻과 비상계엄과 같은 종류, 계엄령 선포시의 변화 등은 쉽게 답변하기가 어려운데요. 이번에는 계엄령에 대해 쉽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엄령이란?
계엄령은 국가 비상사태 시 군사적 필요나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대통령이 선포하는 특별한 법적 상태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77조에 따라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에서 선포될 수 있으며, 이는 크게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뉩니다.
계엄령의 종류
- 비상계엄: 전쟁이나 사회질서가 극도로 교란되어 행정 및 사법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 선포됩니다.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제한 등 특별 조치가 가능하며 계엄사령관이 모든 행정 및 사법 권한을 관장합니다.
- 경비계엄: 사회질서가 교란되어 일반 행정기관만으로 치안 확보가 어려운 경우 선포됩니다. 군사적 행정 및 사법 권한을 계엄사령관이 담당합니다.
계엄령 선포 절차
대통령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계엄령을 선포하며, 국회에 즉시 통보해야 합니다. 국회가 재적 과반수 찬성으로 계엄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은 이를 해제해야 합니다.
계엄사령관의 역할과 권한
- 임명: 현역 장성급 장교 중 국방부 장관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 권한:
- 공공질서 유지와 사회 안정 확보를 위한 경찰 및 군 병력 지휘.
- 통행 제한, 집회 금지, 언론 검열 등 강력한 조치 시행.
- 민간 행정 기능 대행 및 군사적 방어 작전 총괄.
대한민국의 주요 계엄 사례
대한민국에서 계엄령은 독재 정권 시기에 권력 강화 수단으로 악용된 사례가 많습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1948년 여수·순천 사건 비상계엄: 대한민국 최초의 계엄령.
-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비상계엄: 신군부의 내란 행위를 통해 정권을 탈취하려는 시도.
- 2024년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 윤석열 대통령은 정치적 혼란과 북한 위협을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국회의 강력한 반발로 6시간 만에 해제되었습니다.
- 당시 육군참모총장 박안수가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언론 통제와 집회 금지 등 강력한 조치가 시행되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종북세력 척결"과 "자유민주주의 체제 보호"를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이는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 발생한 사례로 정치적 논란을 초래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포 이유: 국가 안보 위협 및 정치적 혼란 대응.
- 조치:
- 국회의 활동 중단 및 언론 검열.
- 모든 정치 집회 금지.
- 결과: 야당과 시민들의 강력한 반발로 인해 짧은 시간 내 해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