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기업이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는 이유

by 킴앤 2022. 5. 11.
반응형

지난 3월 국내에서 손에 꼽히는 대기업인 포스코그룹이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화제에 올랐습니다. 계열사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대그룹들에게서 종종 들려오는 이 지주회사는 무엇이며, 왜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려고 하는 것일까요? 이번에는 지주회사의 개념과 장단점을 통해 지주회사체제로의 전환 이유에 대해 정리합니다.

대기업이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이유

지주회사란?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알기 위해서는 우선 지주회사의 개념부터 정리해야합니다. 지배회사, 혹은 모회사라고도 불리는 지주회사는 계열사 등의 산하 자회사들의 주식을 일부 또는 전부 보유하여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회사를 일컫습니다.

지주회사의 종류

지주회사의 종류에는 크게 2종류가 있습니다.

  1. 순수 지주회사 - 자회사의 주식을 보유하기 위해 존재하며, 이를 통해 자회사를 지배-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혼합 지주회사 - 기업 자체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자회사의 주식을 보유, 지배와 관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다른 말로는 사업지주회사라고도 부릅니다.
  3. 금융 지주회사
  4. 제조 지주회사

지주회사의 설립 요건

1. 지분요건

지주회사 총 자산의 50% 이상을 자회사 주식으로 보유.

2. 지배요건

1대 주주로 보유한 지분만 지주회사로 인정.

지주회사의 장단점

지주회사의 장점

  1. 배당입금 불산입 - 지주회사의 도입은 국내에서 선택사항이기 때문에 지주회사 체제로 기업이 전환하게 되면 배당 입금 불산입이라는 배당금 세금 혜택이 부여됩니다. 자회사를 많이 보유한 대그룹은 그 수익의 규모만큼이나 배당금의 규모도 어마어마합니다. 때문에 자회사의 배당금에 대한 수입이 큰 편인데요, 이 배당금 수익은 세금을 납부한 이후 수익으로 계산됩니다. 배당 입금 불산입은 그 배당금에 대한 세금 부과를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큰 메리트가 되는 것입니다.
  2. 양도차익 과세 면제 - 두번째 장점 역시 세금과 관련한 것입니다. 지주회사가 자회사의 주식을 처분하거나 현물출자를 하는 경우 본래 양도차익 과세가 발생하는데요, 지주회사 체제에서는 이 세금이 면제됩니다.
  3. 효율성 증대 - 세번째 장점은 기업 관리 차원에 대한 부분입니다.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게 되면 그룹 내 구조조정을 진행하게 되면서 자회사의 책임 경영을 촉진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주회사의 단점

금융회사와 제조회사 공존불가

지주회사전환은 장점이 많아 보이지만 자회사가 많은 그룹이 진행하는 만큼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바로 금융회사와 제조회사를 동시에 보유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보통 대그룹의 경우 자회사로 전자제품 혹은 식품 등의 제조회사와 투자 전문의 금융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게 되면 공정거래법에 의해 제조회사와 금융회사를 동시에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매각 혹은 철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금융회사를 매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주회사 리스트

국내 지주회사

  1. LG
  2. SK
  3. 롯데지주
  4. 광윤사
  5. 한화
  6. GS
  7. 현대중공업 지주
  8. 이마트
  9. 신세계
  10. CJ 주식회사
  11. 한진칼
  12. 두산
  13. LS
  14. DL
  15. NXC
  16. 한미사이언스
  17. 인터파크 홀딩스
  18. 동아쏘시오 그룹
  19. 스마일게이트 홀딩스
  20. 네오위즈 홀딩스
  21. HYBE
  22. 대원고속
  23. 대성홀딩스

해외 지주회사

미국

  1. 버크셔 해서웨이
  2. 알파벳

일본

  1. 반다이 남코 홀딩스
  2. 스퀘어 에닉스 홀딩스
  3. 코나미 홀딩스

독일

  1. 포르쉐 SE

이탈리아

  1. 엑소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