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첫 민생지원 정책인 '민생지원금'은 5년 전 팬데믹 시절의 재난지원금과도 같은 정책입니다. 하지만 약간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요. 민생지원금의 개념부터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일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민생지원금이란?
정부가 2025년 2차 추경으로 편성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경기 부양과 생활 안정을 동시에 노린 지원책입니다. 1인당 기본 15 만 원을 전 국민에게 보편 지급하면서, 저소득층·농어촌 거주자에게 추가 금액을 얹어 최대 52 만 원까지 받을 수 있게 설계됐어요. “소비쿠폰”이라는 이름처럼 지역화폐·카드포인트·선불카드로 지급돼 3~4 개월 안에 지역 상권에서 써야 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놓치기 쉬운 포인트
보편+선별 혼합 방식이라 ‘무조건 동일 금액’이 아닙니다. 건강보험료 구간·주소지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니 꼭 확인하세요.
2. 민생지원금 지원대상
소득 상위 10% | 15 만 원 | 월 건강보험료 상위 10% |
일반 국민 | 25 만 원 | 상위 10%·취약층 제외 전 국민 |
차상위 계층 | 40 만 원 |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 직전 계층 |
기초생활수급자 | 50 만 원 |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
농어촌 거주자(89곳) | +2 만 원 | 주소지가 인구감소지역이면 추가 |
소득은 가구별 월 건강보험료로 판단합니다. 같은 금액이라도 1인·4인 가구 기준선이 다르니 가족 전체 보험료를 함께 살펴보세요.
3. 민생지원금 신청방법 & 필요서류
- 1차(15 만 원): 7월 15일 자동 입금·충전, 별도 신청 X.
- 2차(추가 10 만~37 만 원): 7월 17일(예정) 대상자 문자 발송 → 8월 중순부터 신청·지급.
- 온라인: 정부24, 복지로, 국민비서 앱 → 간편인증 or 공동인증서 로그인 → 대상 조회 후 수단 선택.
- 오프라인: 주민등록지 주민센터 → 신분증·도장 지참.
- 디지털 취약층 전담 창구: 고령자·장애인은 현장 직원이 신청서를 도와드립니다.
4. 민생지원금 지급 금액·일정 정리
1차 | 7월 15일 | 자동 → 카드 포인트·지역화폐 | 전 국민 15 만 원 |
2차 | 8월 12~30일 | 신청 → 선택 수단 | 가구 소득·주소지 따라 10 만~37 만 원 |
사용 기한 | 지급일+3 개월 | 지역 내 가맹점 | 미사용분 자동 소멸 |
대형마트·백화점·홈쇼핑·배달앱은 사용이 제한됩니다. 전통시장·동네 식당·약국·미용실 등 골목 상권에 집중하면 현금처럼 활용 가능해요.
5. 민생 지원금 사용처 & 유의사항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전통시장, 슈퍼, 식당, 학원, 약국 등.
- 카드포인트: 기존 포인트와 합산 사용 가능(국내 오프라인 결제만).
- 선불카드: 지급 지역 외 사용·현금화 불가.
✅ TIP
- 가족카드·법인카드 결제는 인정되지 않아요.
- 환불 시 포인트는 먼저 소멸, 실 결제액이 먼저 돌아오니 금액을 나눠 결제하면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6. 민생 지원금 자주 묻는 질문 TOP 5
- 고소득자 제외 기준은?
→ 상위 10% 건강보험료 구간(월 약 36만 원 이상) 예상. 확정 고지는 7월 초 발표. - 외국인도 받을 수 있나요?
→ 6개월 이상 체류 + 건보 가입 외국인은 동일 기준 적용. - 가족 4명이면 100 만 원?
→ 맞습니다. 1인당 지급이라 가구원 수만큼 수령. 단, 가구 합산 보험료가 상위 10%면 모두 15 만 원만. - 수단을 신청 후 바꿀 수 있나요?
→ 불가. 신청 시점에 한 번만 선택.
사기 문자는 어떻게 구별하나요?
→ “gov.kr” “bokjiro.go.kr” 도메인 외 링크는 클릭하지 마세요. 의심되면 110 콜센터로 즉시 신고.
7. 민생지원금 꿀팁
- 건보료 즉시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앱 ‘M건강보험’ → 가구 단위 조회.
- 농어촌 주소지 체크: 주민등록상 시·군·구가 인구감소지역(89곳)이면 자동 +2 만 원.
- 지역화폐 10% 할인 겹치기: 일부 지자체는 충전 시 10% 페이백을 추가 제공해 실질 체감액이 커집니다.
- 중복 지원 여부: 기존 에너지바우처·서울시 희망플러스 지원금 등과는 별도, 감액되지 않습니다.
- 기한 임박 알림: 카드사·지자체 앱에서 ‘쿠폰 사용 기한’ 알림을 켜 두면 소멸 방지에 좋아요.
마무리 한 줄
이번 7월 민생지원금은 단순한 현금성 혜택을 넘어, 지역 상권과 우리 일상을 동시에 살리는 정책입니다. 위 체크리스트만 챙기면 놓치는 일 없이 알뜰하게 받아보실 수 있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