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74

크롬-웨일에서 팝업 차단, 추가하는 방법 인터넷을 하다 보면 가장 짜증 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방문한 사이트에서 터져 나오는 팝업창입니다. 나와는 관련도 없고 관심도 없는 내용들이 쏟아지다 보니 일일이 그 창들을 닫다가 방문 목적을 잊을 지경입니다. 그렇다고 원천 차단해버리자니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의 경우 관심 있는 내용을 놓치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크롬과 네이버 웨일의 웹브라우저에서 광고 팝업을 차단하는 방법과 특정 사이트만 팝업을 허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합니다. 팝업 차단하기 크롬 팝업 차단하기 크롬의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개 메뉴를 클릭해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팝업 및 리디렉션' 창이 펼쳐지면 '기본 동작'에서 '사이트에서 팝업을 전송하거나 리디렉션을 사용할 수 없음'을 선택합니다. 특정 사이트 팝업 허용하기 팝업 차단 메뉴에서.. 2022. 3. 24.
건폐율-용적률의 개념과 계산하는 방법 부동산 관련 뉴스를 보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건폐율과 용적률입니다. 뭐 대충 낮으면 안 좋은 거고 높으면 좋은 거겠거니 하고 넘어가던 지난날을 후회하며 이제라도 두 용어의 개념을 정리합니다. 건폐율과 용적률 건폐율 건폐율은 건설부지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땅의 비율을 말합니다. 도시 건축밀도를 나타낼때 용적률과 함께 꼽히는 대표적인 지표이며, 건축면적/대지면적 x100으로 산정합니다. 건폐율은 낮을수록 아주 단순하게 생각하면 건폐율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건축 부지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인만큼 그 비율은 그 부지의 답답함과 반비례합니다. 도시지역은 50~70%, 관리지역은 20~40%가량으로 건폐율이 제한됩니다. 건폐율을 제한하는 이유 굳이 건폐율을 제한하는 이유는 건축부지에.. 2022. 3. 23.
한국-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 뉴스에서 경제 성장률에 대한 방송이 보도될 때마다 등장하는 대표적인 요소 중에 하나는 바로 소비자 물가지수입니다. 몇 년 연속 상승했다는 둥 사상 최대치다라는 세상 멸망할 것만 같은 뉴스가 이어집니다. 이번에는 그 절망적인 수치로 존재감이 돋보이는 소비자물가지수의 뜻과 한국-미국이 어떻게 소비자 물가지수를 산정하는지, 그리고 세트로 따라다니는 인플레이션 관련 용어에 대해 정리합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한국 한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통계청이 매월 발표합니다. 매월 1일 혹은 2일에 발표되며, 한국은행이 소비자 물가지수 산출을 위해 지정하는 500개의 물품을 근거로 합니다. 기준연도의 물가지수를 100으로 할 때 동일 월 대비 오른 퍼센트만큼을 통해 물가 상승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물가지표의 축으로 꼽힙니다.. 2022. 3. 22.
크롬의 강제종료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 깡통 맥북과 같은 낮은 용량의 램을 가진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크롬은 램(RAM)을 많이 잡아먹는 괴물로 유명하다. 그 이유는 크롬의 모든 탭과 확장자가 각각의 램을 활용하기 때문인데, 아무것도 안 해도 램의 절반을 깔고 시작하는 깡통 노트북에서 크롬은 상습적으로 강제 종료를 일삼는다. 이번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본 결과 유일하게 효과를 봤던 해결방법 한 가지를 소개한다. 크롬의 강제종료를 해결하는 방법 크롬의 설정을 초기화하기 크롬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점 세 개 메뉴를 눌러 '설정'을 클릭한다. 펼쳐진 메뉴에서 좌측에 위치한 '고급' 탭을 열어 '설정 초기화'를 클릭한다. 상단에 나타난 '설정을 기본값으로 복원'을 누르면 설정을 재설정하시겠냐는 메시지가 나온다. 여기서 '설정 초기화'를 누.. 2022. 3.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