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토막지식45

신부와 목사의 차이 절에 스님이 있다면 교회에는 신부님과 목사님이 있다. 교회의 직함이라고 할 수 있는 신부와 목사는 언뜻 비슷해 보이기도 하고, 전혀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신부라는 단어는 동음이의어라는 특성상 오해를 받기도 하고, 종교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면 두 직함을 상하관계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번에는 신부와 목사의 개념과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신부와 목사의 차이 신부 신부는 가톨릭 교회의 사제를 부르는 말로, 영어로는 'Father'라고 부른다. 신자의 고민을 들어주는 상담을 진행하거나, 가톨릭 교회의 미사, 세례식 등을 진행한다. 베드로를 시조로 하는 사도를 시작으로 현재까지도 로마 교황 조직의 일원이며 흔히 말하는 '성직자'다. 공식적으로 혼인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2021. 10. 11.
도로교통법의 교통안전 표지판들 도로에서 운전하기 전에 확인해야 할 기본 소양이라고 할 수 있는 것 중에 하나는 교통안전 표지판일 것이다. 도로 위의 아날로그 내비게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 교통 표지판들의 주의-규제 표지 및 노면 표시들에 대해 알아보자(14년 7월 개정). 도로교통법을 교통안전 표지판들 주의-규제-지시 표지 노면표시 신호등 2021. 10. 11.
금의 순도 단위 'K'의 뜻 보석하면 떠오르는 것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다이아몬드'와 '금'이다. 그중에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사치품으로 이용되어온 금은 언어적으로 '화폐'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경제적인 위기가 닥칠 때마다 금값이 오르는 것은 이 '금'이 갖는 상징적인 가치가 있기 때문이겠다. 그렇다면 금의 순도를 나타낼 때 18K, 24K와 같이 'K'를 붙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금의 순도 단위'K'의 뜻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K'는 Karat(캐럿)의 약자이다. 이 '캐럿'은 금의 순도를 24분율로24 분율로 나타내는 단위로, 14k는 14/24(약 58%), 18k는 18/24(75%), 24k는 24/24(100%)의 순도를 나타낸다. 특히 24k의 금은 영원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k대신 금(金)을 이용.. 2021. 10. 7.
기상청의 강수확률이 자주 틀리는 이유 일기예보를 보다 보면 강수량 외에 강수확률이라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강수확률이 80%여도 비가 오지 않을 때가 있고, 10%인데도 비가 올 때가 있다. '기상청 야유회도 비 와서 취소된다'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확실하지 않은 이 강수확률은 무엇을 근거로 하길래 자꾸 틀리는 것일까 기상청의 강수확률이 틀리는 이유 기상청이 발표하는 강수확률이란 앞으로 비가 올 확률이라기 보다는 과거에 해당 지역이 갖고 있던 대기 상황에 근거한 데이터다. 과거 해당 지역에 현재의 온도와 습도, 풍속 등의 대기 상황을 가졌던 날에 비가 내렸을 확률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 강수확률은 비가 1mm라도 오면 확률에 적용되며, 1% 단위는 반올림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5% 미만일 경우 0%로 표시된다. 그렇기 때.. 2021. 10. 6.
반응형